시흥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흥동은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속하는 동이다. 1914년 시흥군 동면 시흥리로 시작하여, 1963년 서울 영등포구로 편입되었다. 이후 구로구를 거쳐 1995년 금천구로 편입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금천구청역과 석수역이 위치하며, 경수산업도로가 지나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금천구의 행정 구역 - 독산동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독산동은 여러 행정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가산디지털단지역 및 독산역을 통해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 서울 금천구의 행정 구역 - 가산동
가산동은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과거 가리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갓을 만드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갓뫼' 또는 '갓산'이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는 가산디지털단지를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이 위치해 있다. - 서울 금천구의 법정동 - 독산동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위치한 독산동은 여러 행정동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다양한 교육기관과 가산디지털단지역 및 독산역을 통해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 서울 금천구의 법정동 - 가산동
가산동은 금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과거 가리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갓을 만드는 사람들이 많이 살아 '갓뫼' 또는 '갓산'이라 불리던 것에서 유래되었고, 현재는 가산디지털단지를 중심으로 경제 활동이 활발하며, 가산디지털단지역과 독산역이 위치해 있다. - 1970년 폐지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1970년 폐지 - 용산동 (서울)
용산동은 서울 용산구의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한성부에서 일제강점기 경기도 고양군을 거쳐 경성부로 재편입되었고, 해방 후 월남민 정착으로 해방촌, 미군기지 주변으로 기지촌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국방부 청사, 국립중앙박물관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하고, 미군기지 이전과 함께 재개발 및 도시재생이 진행 중이며, 반포대교, 남산터널 등이 지나는 교통 요지이다.
시흥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글) | 시흥동 |
이름 (한자) | 始興洞 |
로마자 표기 (Revised Romanization) | Siheung-dong |
로마자 표기 (McCune–Reischauer) | Sihŭng-tong |
방언 | 해당 정보 없음 |
일반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면적 (km²) | 6.28 |
인구 (2001년) | 128,142명 |
인구 밀도 (명/km²) | 20,405 |
행정 정보 | |
시/도 | 서울특별시 |
구 | 금천구 |
하위 행정 구역 | 시흥제1동 시흥제2동 시흥제3동 시흥제4동 시흥제5동 |
시흥제1동 정보 | |
면적 | 1.71 |
세대 (2012.12.31.) | 15,150 |
인구 (2022년 2월) | 32,715 |
법정동 | 시흥동 |
통 | 56 |
반 | 535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58길 36 |
홈페이지 | 금천구 시흥1동 주민센터 |
![]() | |
시흥제2동 정보 | |
면적 | 1.26 |
세대 (2012.12.31.) | 8,763 |
인구 (2022년 2월) | 21,159 |
법정동 | 시흥동 |
통 | 33 |
반 | 233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금하로 764 |
홈페이지 | 금천구 시흥2동 주민센터 |
![]() | |
시흥제3동 정보 | |
면적 | 1.07 |
세대 (2012.12.31.) | 4,950 |
인구 (2022년 2월) | 10,756 |
법정동 | 시흥동 |
통 | 22 |
반 | 190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18길 40 |
홈페이지 | 금천구 시흥3동 주민센터 |
![]() | |
시흥제4동 정보 | |
면적 | 0.87 |
세대 (2012.12.31.) | 9,475 |
인구 (2022년 2월) | 20,233 |
법정동 | 시흥동 |
통 | 34 |
반 | 253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36길 14 |
홈페이지 | 금천구 시흥4동 주민센터 |
![]() | |
시흥제5동 정보 | |
면적 | 1.39 |
세대 (2012.12.31.) | 9,724 |
인구 (2022년 2월) | 19,101 |
법정동 | 시흥동 |
통 | 41 |
반 | 313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금하로21길 20 |
홈페이지 | 금천구 시흥5동 주민센터 |
![]() |
2. 역사
고려 991년 성종 때 고을의 별호가 시흥(始興)으로 정해지면서 '시흥'이라는 명칭이 공식 기록에 처음 등장했다.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는 '금천'(衿川)으로 개명되었으나, 시흥이라는 이름은 별명으로 계속 사용되었다. 1795년 정조 19년에는 다시 '시흥현'으로 명칭이 바뀌고 격이 높아졌는데, 이는 정조의 수원 현륭원 행차 시 이곳 관아가 행궁(行宮)으로 사용된 것과 관련이 있다.[3]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에는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시흥군 동면 시흥리로 변경되었다.[4] 광복 이후,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시흥군 시흥리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시흥동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분동과 행정구역 조정을 거쳐 1995년 3월 1일 구로구에서 금천구가 분리되면서 현재의 금천구 시흥동이 되었다. 주요 행정구역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3][5]
날짜 | 내용 | 비고 |
---|---|---|
1963년 1월 1일 | 경기도 시흥군 시흥리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시흥동으로 편입 | 서울특별시 편입 |
1970년 5월 18일 | 시흥동이 시흥제1동과 시흥제2동으로 분동 | |
1970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독산동 분동 | |
1975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3동 분동 | |
1980년 4월 1일 |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분구 | |
1980년 7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4동 분동 | |
1983년 1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본동 분동 | |
1985년 9월 1일 | 시흥제3동에서 시흥제5동 분동 | |
1989년 1월 1일 | 독산제1동 2개 통이 시흥제1동으로 편입 | |
1991년 10월 1일 | 시흥제4동 일부가 시흥제5동에 편입[5] | |
1995년 3월 1일 | 구로구에서 금천구로 분구 | 현재 소속 |
2008년 1월 1일 | 시흥본동과 시흥제1동 통합[3] |
2. 1. 명칭의 유래와 의미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잉벌노’(仍伐奴)는 ‘늘어나는 땅’ 또는 ‘넓은 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잉벌'(仍伐)은 '늠'으로, '느르→늘→늣→늠'과 같이 음이 변하며 '연장'(延長)을 뜻하고, '노'(奴)는 '내'의 음차로 '흙' 또는 '평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3]'시흥'(始興)이라는 명칭은 991년 고려 성종 때 고을의 별호로 정해지면서 공식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 《고려사》 지리지에 따르면, 시흥은 “일어나다”, “뻗어나다”, “으뜸이 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는 고구려 시대 지명 '잉벌노'와 의미상 통하는 면이 있다. 이 지역은 공식 행정 명칭이 정해지기 전부터 시흥이라 불렸을 가능성이 있으며, 금주현(衿州縣)에 이어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금천’(衿川)으로 개명된 후에도 별명으로 계속 시흥이라 불렸다.[3]
1795년 조선 정조 19년에 이르러 '시흥현'(始興縣)으로 명칭이 바뀌고, 관직도 종 6품 현감에서 종 5품 현령으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정조의 수원 현륭원 전배와 관련이 깊다. 정조는 1790년부터 1800년까지 11년 동안 12차례에 걸쳐 능행을 했는데, 이때 한강대교, 장승배기, 시흥대로 등을 거쳐 금천구 지역을 통과했다. 정조는 현재의 구로디지털단지역 앞 도림천(당시 마장천) 다리를 건너 문성골(현재 문성초등학교 부근)을 지나 시흥고개를 넘어 시흥현 관아에 머물렀다. 이후 박산(박미), 염불교(안양유원지 입구)를 거쳐 수원으로 향했다. 정조 시대에 시흥현 관아는 왕이 머무는 행궁(行宮)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행정 구역 명칭도 시흥으로 변경된 것이다.[3]
2. 2. 조선시대
1413년 조선 태종 13년에 기존의 금주현이 '금천'(衿川)으로 개명되었으나, 고려시대부터 사용된 '시흥'이라는 이름은 별명으로 계속 불렸다.[3]1795년 조선 정조 19년에 이르러 '시흥현'으로 다시 개명되었고, 이때 종 6품 현감이 종 5품 현령으로 승격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에 참배하기 위해 수원으로 행차하던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정조는 1790년부터 1800년까지 11년 동안 12차례에 걸쳐 능행을 하였는데, 이때 시흥 지역을 통과하였다.[3]
정조의 능행 경로는 창덕궁 돈화문을 출발하여 남대문, 한강대교, 장승배기, 신대방삼거리, 신대방1동(시흥대로)을 거쳐 현재의 금천구 지역으로 들어섰다. 당시 구로디지털단지역 앞 도림천(당시 마장천)과 시흥대로가 만나는 지점의 마장천 다리를 건너 문성골(현재 문성초등학교 부근)을 지나 시흥고개를 넘어 부장천 다리를 건넌 후 시흥현 관아에 머물렀다. 이후 박산(박미), 염불교(안양예술공원 입구)를 거쳐 수원으로 향했다. 이처럼 정조의 능행 길에 시흥현 관아가 행궁(行宮)으로 사용되면서 그 중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행정 구역 명칭도 시흥으로 바꾸고 관아의 격도 높인 것이다.[3]
2. 3. 일제강점기 및 광복 이후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 기존 시흥군 군내면 군내동(상평리)이었던 지역이 시흥군 동면 시흥리로 변경되었다.[4]광복 이후 시흥동은 여러 차례 행정구역 변화를 겪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비고 |
---|---|---|
1963년 1월 1일 | 경기도 시흥군 시흥리에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시흥동으로 편입 | 서울특별시 편입 |
1970년 5월 18일 | 시흥동이 시흥제1동과 시흥제2동으로 분동 | |
1970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독산동 분동 | |
1975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3동 분동 | |
1980년 4월 1일 |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분구 | |
1980년 7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4동 분동 | |
1983년 1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본동 분동 | |
1985년 9월 1일 | 시흥제3동에서 시흥제5동 분동 | |
1989년 1월 1일 | 독산제1동 2개 통이 시흥제1동으로 편입 | |
1991년 10월 1일 | 시흥제4동 일부가 시흥제5동에 편입[5] | |
1995년 3월 1일 | 구로구에서 금천구로 분구 | 현재 소속 |
2008년 1월 1일 | 시흥본동과 시흥제1동 통합[3] |
3. 행정 구역
4. 하위 행정구역 변천
날짜 | 내용 |
---|---|
1914년 3월 1일 | 시흥군 군내면 군내동(상평리)에서 시흥군 동면 시흥리로 변경[4] |
1963년 1월 1일 | 경기도 시흥군 시흥리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시흥동으로 편입 |
1970년 5월 18일 | 시흥동이 시흥제1동과 시흥제2동으로 분동 |
1970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독산동이 분동 |
1975년 10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3동이 분동 |
1980년 4월 1일 | 영등포구에서 구로구로 분구 |
1980년 7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제4동이 분동 |
1983년 1월 1일 | 시흥제1동에서 시흥본동이 분동 |
1985년 9월 1일 | 시흥제3동에서 시흥제5동이 분동 |
1989년 1월 1일 | 독산제1동 2개통이 시흥제1동으로 편입 |
1991년 10월 1일 | 시흥제4동의 일부가 시흥제5동에 편입[5] |
1995년 3월 1일 | 구로구에서 금천구로 분구 |
2008년 1월 1일 | 시흥본동과 시흥제1동이 통합[3] |
5. 교육
시흥동에는 다수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특히 국립전통예술중학교와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와 같은 특수 목적 학교도 자리 잡고 있어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한다. 각 행정동별 학교 현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5. 1. 시흥1동
5. 2. 시흥2동
5. 3. 시흥3동
5. 4. 시흥4동
- 서울신흥초등학교
- 서울한울중학교 (구 흥일초등학교)
5. 5. 시흥5동
6. 교통
시흥동의 주요 교통 시설로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금천구청역과 석수역이 있으며, 주요 도로로는 경수대로가 지난다.
7. 기타
경기도 양주에 있다가 서울 왕십리로 옮겨졌던 흥선대원군의 서장자 완은군 이재선의 묘가 1909년 12월 7일, 흥친왕 이재면과 이준용에 의해 당시 시흥군 동면 시흥리 2통 3호, 즉 지금의 시흥동으로 이장되었다.[6] 이재선의 부인인 군부인 신씨 또한 현재의 시흥동인 시흥리 2통 3호 인근에 거주하였다. 그러나 완은군 이재선의 묘 위치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인기 애니메이션 짱구는 못말려의 한국판 배경이 되는 곳이기도 하다.
참조
[1]
웹사이트
시흥동 (Siheung-dong 始興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9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Siheung-dong
http://www.geumcheon[...]
Geumcheon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19
[3]
웹사이트
시흥동의 유래
http://siheung1.geum[...]
2012-06-16
[4]
법률
부령 제111호
[5]
법률
서울특별시 구로구조례 제158호
[6]
뉴스
永宣遷墓
皇城新聞
1909-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